반응형
    
    
    
  250x250
    
    
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Notice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cent Posts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Recent Comments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Link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| 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 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1 | ||||||
| 2 | 3 | 4 | 5 | 6 | 7 | 8 | 
| 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
| 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
| 23 | 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
| 30 |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Tags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- 문자열
 - 유클리드 호제법
 - 수학
 - 스택
 - 실패함수
 - KMP알고리즘
 - 프로그래머스
 - 다이나믹 프로그래밍
 - LeetCode 83번
 - 시뮬레이션
 - LeetCode 83 c언어
 - LeetCode Remove Duplicates from Sorted List in c
 - 별 찍기
 - 큐
 - 브루트포스 알고리즘
 - 구현
 - 재귀
 - 자료 구조
 - 조합론
 - 임의 정밀도 / 큰 수 연산
 - 정수론
 - 사칙연산
 -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
 - 연결리스트 중복제거
 - 연결리스트 정렬
 - 이분 탐색
 - 정렬
 - 문자열제곱
 - Queue
 - 큰 수 연산
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Archives
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- Today
 
- Total
 
hahn
[Terraform]state 본문
728x90
    
    
  반응형
    
    
    
  apply하게 되면 tfstate가 생기는데 이는 provider을 통한 infra에 반영된 상태를 나타낸다.
{
  "version": 4,
  "terraform_version": "1.9.3",
  "serial": 46,
  "lineage": "08c58629-ff4d-d2b1-b821-36b978ae921d",
  "outputs": {},
  "resources": [
    {
      "mode": "managed",
      "type": "aws_vpc",
      "name": "main",
      "provider": "provider[\"registry.terraform.io/hashicorp/aws\"]",
      "instances": [
        {
          "schema_version": 1,
          "attributes": {
            "arn": "arn:aws:ec2:ap-northeast-2:XXXXXXXXXXXX:vpc/vpc-XXXXXXXXXXXXX",
            "assign_generated_ipv6_cidr_block": false,
            "cidr_block": "172.16.0.0/16",
            "default_network_acl_id": "acl-XXXXXXXXXXXXXXX",
            "default_route_table_id": "rtb-XXXXXXXXXXXXXXX",
            "default_security_group_id": "sg-XXXXXXXXXXXXXXX",
            "dhcp_options_id": "dopt-XXXXXXXXXXXXXXX",
            "enable_dns_hostnames": false,
            "enable_dns_support": true,
            "enable_network_address_usage_metrics": false,
            "id": "vpc-XXXXXXXXXXXXX",
            "instance_tenancy": "default",
            "ipv4_ipam_pool_id": null,
            "ipv4_netmask_length": null,
            "ipv6_association_id": "",
            "ipv6_cidr_block": "",
            "ipv6_cidr_block_network_border_group": "",
            "ipv6_ipam_pool_id": "",
            "ipv6_netmask_length": 0,
            "main_route_table_id": "rtb-XXXXXXXXXXXXXXX",
            "owner_id": "XXXXXXXXXXXX",
            "tags": {
              "Name": "terraform"
            },
            "tags_all": {
              "Name": "terraform"
            }
          },
          "sensitive_attributes": [],
          "private": "eyJzY2hlbWFfdmVyc2lvbiI6IjEifQ=="
        }
      ]
    }
  ],
  "check_results": null
}
json 형식으로 저장된다.
terraform state list
명령어를 사용하면 적용되고 있는 state list를 확인할 수 있다.

지금은 1개만 적용되어 있어 1개만 나오지만 여러 개 있을 때 특정 state를 확인하기 위해서는
terraform state show
를 사용하면된다.

파이프로 넘겨서 원하는 포맷으로 만들 수도 있다.
728x90
    
    
  반응형
    
    
    
  '클라우드 > Terrafor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Terraform]VPC, Subnet, IGW, EC2 생성 (0) | 2024.08.06 | 
|---|---|
| [Terraform]Mutable, Immutable (0) | 2024.08.06 | 
| [Terraform] 변수 사용하기 (0) | 2024.08.06 | 
| [Terraform] VPC 생성 (0) | 2024.08.06 | 
| [Terraform] AWS provider 생성 (0) | 2024.08.06 |